구글상단 블로그 face 정사각형 이미지300사이즈

< 스폰서 링크 >




웹툰작가 수입(월급), 조회수 별점수 덧글수로 고료 책정한다? by NewB

웹툰작가 수입(월급) 조회수 별점수 덧글수로 고료 책정한다?

아래글은 펌글로, 실제로 포털 N사(머 네이버겠죠. 네이버웹툰 작가) 웹툰 작가의 댓글을 가져와 보았습니다.
생계형 웹툰작가의 현실을 말해주고 있네요.
N사에서 연재합니다.
초반 고료는 120~130 선이었습니다.
그래도 초창기 20이다 30이다 이럴때보다는 확실히 나아진 조건에서 그리고 현재 웹툰의 양대산맥이라는 D사의 신인들에 비해서는 확실히 좋은 조건으로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웹툰은 조회수 별점수 덧글수로 고료가 책정된다고 알고는 있는데 본인이 작가임에도 어느정도 기준으로 고료를 책정하는지 지금도 모릅니다. 조회수가 몇십만건부터 덧글이 몇개부터 별점이 몇개부터... 고료를 어느정도 올려준다... 이런 기준에 대해서는 들어본 바 없습니다. 한때는 자기 만화 조회수도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단행본이 나와도 초반 2천부... 더 팔일일은 희미하기만 하고 2천부...이것도 다 나가기나 할까요... 잘 팔린 웹툰 단행본이 5~8천부 정도였다고 들었습니다. 사실 2차 컨텐츠로의 수입또한 많은 작가들에게는 기회가 적습니다.
작가가 만화만 그리면서 사는게 사실상 힘들기도 합니다.
연재 작품이외의 외주를 해야 그나마 10만원이든 20만원이든 적금을 부을 수 있는 여윳돈이 생기고 어시스트... 도무지 쓸 엄두가 안납니다. 실랄하게 말하자면 아마추어 웹툰 투고란에서 누구나 작가입니다. 한화 도와주는데 5~10만원 줄게 밑색좀... 배경좀...도와줘....라고 해도...누가 어시를 하려고 할까요... 이 돈 받고는 어시 못하지... 차라리 주말 알바하는게 더 수입이 될테니까요. 물론 외주도 하는 분들만 하고 구경못하는 작가님들은 통상적으로 고료에 의지해 살고있습니다.

스토리도 작화도 어시없이 컬러로 혼자 주간연재를 해야하니... 욕심대로 그릴 수 없고... 행여 마감이 늦어지면 악풀폭탄에 맘상하고 고생하는 일도 허다합니다. 이러하니 아마추어 작가분들이 보시기엔 웹툰? 나도 하겠네... 라는 생각과 무엇보다 서비스로 시작한 웹툰이기에 만화는 무료라는 인식... 이건 정말 절망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무료제공에 관한 많은 의견들이 분분하지만 웹툰이 나온지 10년이 넘은 지금도 여전히 무료입니다.
자체적으로 수익이 이거다... 라고 할게 없으니 많은수의 작가님들이 생활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죠... 이건 창작하는 아주 최소한의 조건만 제공 받는 느낌입니다. 아니... 이런 생각이라도 하지 않으면 더이상 못할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당장 그만둬! 라고 속으로 수백번을 되내여도 생계형 작가로 살다보니 모아놓은 돈도없고 한국에서 웹이 아니면 어디 연재처를 찾기도 쉽지 않습니다.

웹툰 작가님들은 고료이야기를 많이 하지 않습니다.
고료 자체가 곧 작가들 우열을 나누는 잣대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출판사 처럼 어느정도 정해진 고료가 아니니까요... 페이지당 얼마 이런게 아니라 조회수 덧글 별점으로 인기대로 준다...라는 식인데 그 기준이 어느정도인지...

매주 마감을 하고 연재를 할때마다 생각하곤 합니다.
내가 만화가는 맞나.... 연재처에서 연락도 거의 안옵니다.
제가 하지 않으면 1년에 1~2번? 지각이나 펑크를 내면 연락은 온다고 합니다.

끝 맺음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아무튼 저는 인기있는 작가가 아니므로 모든 웹툰 작가님들이 이런 생각을 하시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그래도 많은수의 작가님들이 현재의 한국만화에 대해서 걱정하는 부분은 비슷하다고 봅니다.

무너저가는 한국 만화시장에 내려진 웹툰이라는 동앗줄이...
이렇다 저렇다에 대한 평가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합니다.




출처 : blog.naver.com/boichi 글중 어느 댓글에서

덧글

댓글 입력 영역



리얼 180




이글루링크수이미지

통계 위젯 (화이트)

12
6
2217668

빈공간




























ad 얇은거 광고 1줄



구글 160 600 1